1달러가 다 같은 1달러가 아니라고? – 달러 가치의 변화와 인플레이션

US Dollar Value

인플레이션 (Inflation) 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어른들께서 “내가 젊을 때는 짜장면이 몇백원이었는데” 하는 식의 말씀을 한번 쯤은 들어보신 적 있을겁니다. 어릴 때의 저는 짜장면이 옛날에는 더 싸서 좋겠다는 생각을 마냥 하곤 했었는데요. 현재 짜장면이 더 비싸졌다는건 옛날보다 물가가 상승했고, 그만큼 원화의 가치가 떨어져서 같은 짜장면을 사먹는데 더 많은 돈이 들어가는 것으로 봐야겠죠. 이처럼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거나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원화가 아닌 미국 달러의 가치는 어떻게 변화했을지 궁금해졌습니다. 아래 세인트 루이스 연준의 FRED 통계 자료는 1913년 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미국의 구매지수를 나타내고 있는데, 과거의 달러가 현재 얼만큼의 가치를 갖고 있는지 대략적으로 알아볼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위 그래프에서 회색으로 칠해진 세로 막대는 미국의 불황기를 나타내는데, 전반적으로 우하향하는 그래프가 1929년을 기점으로 크게 출렁입니다. 저 때가 바로 미국의 대공황 (The Great Depression) 이고요, 대공황이 끝난 1933년 이후로 그래프는 다시 우하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1913년 1월 100달러의 가치는 2020년 11월 기준 3.77달러

위 자료를 토대로 1913년 1월 100달러 (11만원, 달러 당 1,100원 기준)의 가치가 현재까지 어떻게 변화하는지 10년 단위로 계산을 간단하게 해보았습니다.

  • 1923년 1월 : 58.46 달러 (약 64,305원)
  • 1933년 : 76.18 달러
  • 1943년 : 58.11 달러
  • 1953년 : 36.84 달러
  • 1963년 : 32.29 달러
  • 1973년 : 23.90 달러
  • 1983년 : 10.03 달러
  • 1993년 : 6.89 달러
  • 2003년 : 5.40 달러
  • 2013년 : 4.26 달러
  • 2020년 11월 현재 : 3.77 달러 (약 4,150원)

그 말인즉슨, 극단적인 예로 만일 1913년부터 2020년까지 급여 인상없이 매년 100 달러의 연봉을 받았던 (수명이 매우 긴..) “김 씨”가 있었다 치면, 김 씨가 연봉 100 달러로 매년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은 점점 적어져 2020년에는 100 달러의 돈으로 5불 (5,500원) 어치의 물건도 못 산다는 뜻입니다. 물가가 엄청나게 오르고 살기가 팍팍해졌다는 것이겠지요. 이렇게 물가가 올라서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을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만일 김 씨가 2020년에도 1913년과 동일한 구매력을 유지하려면 얼마를 연봉으로 받아야 할까요?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의 이 인플레이션 계산기에 따르면 김 씨는 현재 기준으로 2,655.40 달러 (약 292만원) 의 연봉을 받아야 1913년과 동일한 수준의 생활을 유지하면서 살겠네요.

미국의 여러 재화의 가격 변화는?

앞서 예를 들었던 짜장면처럼, 미국 사람들이 많이 찾는 물건들은 역사적으로 가격이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2019년 야후의 기사에서 다음 재화의 가격 변화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평균치라서 실제 가격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새 자동차
  • 1913년 가격 : 평균 1,432.89 달러 (약 158만원)
  • 2019년 가격 : 평균 약 35,444 달러 (약 3,898만원)
주택
  • 1970년 가격 : 평균 25,000 달러 (2,750만원)
  • 2019년 현재 가격 : 약 407,300 달러 (약 4억 4천만원)

    인플레이션만 놓고보면 1970년 가격은 현재 약 $163,933.20 정도 (약 1억 8천) 되어야 한다는데, 이 외에 다른 요소들이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친 것 같네요.
Half-gallon (1.89L) 우유
  • 1918년 가격 : 28 센트 (약 3백원)
  • 2019년 현재 가격 : 약 2.01 달러 (약 2,200원)
영화 티켓
  • 1960년 가격 : 75센트 (825원)
  • 2019년 현재 가격 : 약 13.69 달러 (약 15,000원)

    1960년 당시에도 저렴한 편이었고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현재 티켓 당 $6.34 (약 7천원) 정도 해야 한다는데, 그것보단 많이 오른듯 합니다.
휴대용 맥 컴퓨터
  • 1989년 가격 : 6,500 달러 (715만원)
  • 2019년 현재 가격 : 약 1,000 달러

    1989년도에 애플 매킨토시 컴퓨터의 휴대용 버전이 나왔는데, 7킬로그램이 넘어가는 무게에 가격은 7백만원이 넘었다고 하네요. 인플레이션 적용 시 $13,304.17 (약 1,463만원) 이라고 하지만 요새는 기술발전으로 약 $1,000 만 주면 훨씬 좋고 가벼운 성능의 맥북을 살수 있으니 격세지감입니다.

    반면 이러한 기술발전은 스마트폰이나 랩탑 등 특정 제품의 가격을 계속 올리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떨어뜨리다보니 소비자 물가지수 (CPI) 를 이용한 인플레이션 계산의 신뢰도를 낮추는 요인이라고 하네요. 더 설명하자니 이야기가 너무 길어져서.. 넘어갑니다 ㅎㅎ

내가 태어난 해 한국 짜장면 값은 얼마였을까?

찾다보니 정말로 과거에 짜장면 값이 얼마였는지 통계로 알려주는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바로 한국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 안에 있는 “통계로 시간여행” 이라는 사이트 입니다. 단순히 통계지표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관련된 문화적 지표까지 결합해서 보여주는 시각화 컨텐츠인데, 몇 가지 해보니 재미있고 기발한 컨텐츠입니다. 작년 이맘때 새로 나왔나 본데, 홍보가 더 잘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아래에도 링크 달아봅니다.

https://kosis.kr/visual/statisticTimeTour/index/index.do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 의 인플레이션 목표치는 2%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이 한 국가의 통화량 팽창이 경제 성장을 웃도는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봅니다.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각 나라의 중앙은행들은 인플레이션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여러가지 정책을 펼치게 되죠.

미국의 경우,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 (Fed) 내의 정책 수립기관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에서 이러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여기에서 목표치로 잡은 중기 인플레이션 목표치는 2%입니다. 인플레이션이 2%를 상회할 경우 경제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하여, 연준에서는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월가의 예측 “30년간 못봤던 인플레이션이 온다?”

사실 통계청 사이트 얘기하고 글을 줄이려고 했는데.. 오늘 마침 이런 기사를 보아서 글이 길어졌습니다. 하하하 코로나 사태로 인해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금리도 낮추고, 돈도 많이 풀고 하다보니 유동성 규모가 커지고, 이로 인해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이야기이죠. 그런데 기사 속 전문가의 요지는 인플레이션 그 이후에 있습니다. 바로 이 기록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과도한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연방준비제도가 금리를 올려버리는 상황이 오고, 이로 인해 주식시장이 타격을 입을수 있다는 게 핵심입니다.

왜 금리가 오르면 주식시장에 악영향을 미칠까요? 금리가 오르면 기업이나 소비자가 돈 쓰는 것을 줄일테고, 이것이 주식 가격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기업은 올라간 이자율을 감수하면서까지 돈을 빌려 투자를 하지 않을테고, 소비자들은 저축 등의 상품이 이자율이 올라가면 돈을 안쓰고 저축을 하겠지요.

앞서 언급한 기사에는 반대되는 견해도 있습니다. 과도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는 있으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고 이로 인해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지요. 연준이 이미 2023년까지 제로금리를 천명했고,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을 야기하기에는 실업률 등의 지표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실제 인플레이션이 과도하게 올지, 연준이 이에 대한 대응을 할지는 2021년이 되어봐야 알 수 있겠지요. 코로나 사태가 어떤 국면으로 접어들지도 촉각을 곤두세워야 할 부분인 것 같구요.아직 오지 않은 것에 대한 과도한 걱정보다는 이런 가능성에 미리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사실 제가 이런걸 잘 못해서.. 2021년 기념으로 다시금 마음 다잡아 봅니다.